2024/03/13 3

TIL (03.13)

Kotlin 문법 정리 data class copy() 메서드 코루틴 코루틴(Coroutine) ? 이론 처음 들었을 때는 Kotlin에서 만들고 사용되는 기술이라고 생각했었다. 하지만 1958년에 코루틴 용어가 만들어지고 어셈블리 프로그램에서 적용되었으며 다른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rlawog.tistory.com 이론적으로 이해가 좀 힘들었다,, 빨리 Android로 사용겸 실습을 해봐야 더 이해가 될 것 같다. 좋은건 알겠는ㄴ데 지금은 왜 사용되는지 모르겠는 느낌 ? 키오스크 과제 월요일부터 하루에 lv1씩 진행해서 오늘 lv3까지 진행했다. codekata 시간 안에 못푼 알고리즘이 생각이 난다... 오래걸릴줄알고 껐는데 생각보다(?) 금방 풀었다. Android 뿌시기 게시물 올리기 단계에..

Kotlin/TIL 2024.03.13

코루틴(Coroutine) ?

이론 처음 들었을 때는 Kotlin에서 만들고 사용되는 기술이라고 생각했었다. 하지만 1958년에 코루틴 용어가 만들어지고 어셈블리 프로그램에서 적용되었으며 다른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한다고한다. 찾아보면서 출력 시간 지연할 때 사용했었나 했지만 그건 스레드였다... 코루틴은 "실행의 지연과 재개를 허용함으로써, 비선점적 멀티태스킹을 위한 서브 루틴을 일반화한 컴퓨터 프로그램 구성요소" 라고 한다. 비선점적 ?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으면 종료되기 전까지 다른 프로레스를 강제로 차지할 수 없다. 루틴 ? 프로그래밍에서 루틴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추상적으로 일컫는 말이다. 프로그램은 메인 루틴과 서브 루틴으로 나뉜다. 예를 들어 main함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메인 루틴이라고..

Kotlin/문법 2024.03.13

Kotlin - Pair, Triple

함수는 1개의 객체를 리턴한다. 과제를 진행하다가 2개 이상 리턴은 불가능한가 찾아보다가 알게되었다. Pair의 경우 2개의 값을 리턴하고 Triple의 경우 3개의 객체를 리턴할 수 있다. Pair 사용법 val pair1 = Pair("Hello", "World") val pair2 = Pair("Hello", 1234) val pair1 = Pair("hi", "hello") val pair2 = Pair("hi", 1234) val pair = Pair("hi", 1) System.out.println(pair.first) // hi System.out.println(pair.second) // 1 open fun select(): Pair { val pair = Pair("hi", 1) retu..

Kotlin/문법 2024.03.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