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IDE -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약자로, 통합 개발 환경이라는 뜻이다. - 개발 툴을 하나의 GUI로 결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. -소프트웨어 편집, 빌드, 테스트, 패키징과 같은 기능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하여 개발자 생산성을 높인다.
2. 컨벤션 - 코드 작성 규칙들(Coding Conventions)으로 코드를 작성함에 있어 상식적인 규칙이다. 1) 이름 규칙(Naming Rules) -PascalCase : 첫단어는 대문자, 이어지는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법 ex) GoodBoy, MyApp -camelCase: 첫단어는 소문자, 이어지는 단어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법 ex) goodBoy, myApp -snake_case: 모든 단어를 소문자, 이어지는 단어를 언더바(_)로 표기하는 방법 ex) good_boy, my_app -kebab-case: 모든 단어 케이스, 이어지는 단어를 대시(-)로 표기하는 방법 ex) good-boy, my-app -UPPER_CASE: 모든 단어 대문자, 이어지는 단어를 언더바(_)로 표기하는 방법 ex) GOOD_BOY, MY_APP // 요즘은 snakecase를 주로 사용한다고 알고있다.
2) Boolean 타입의 변수 작명규칙 -boolean 타입의 독특한 변수명 작명 규칙으로 is를 붙여서 사용한다. ex) is_animal, is_exist, is_good //~인지 아닌지 라고 해석
3) 들여쓰기(indednt) - tab / space 방식이 있다. //space 방식 권장 -이 외에도 괄호 사용하는 방법, 띄어쓰기 위치, comma 위치, 세미콜론 사용 유무, 줄 간격 등등
4) Lint - 소스코드의 잠재적인 오류를 확인하거나, 코딩 컨벤션을 쉽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
3. 자료형 - 데이터 타입으로, 정수(integer), 불린(boolean), 문자 한 개(character), 실수(floating-point number), 문자열(String) - 값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.
4. 변수와 상수 -변수(variable)는 언제든지 다른 값을 저장할 수 있다. -상수(constant)는 데이터를 직접 표현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문자나 숫자 같은 값 자체를 말한다. ex) var a = 5 //a는 변수, 5는 상
5. Method -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와 관련된 함수이며 데이터와 멤버 변수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갖는 것이다. - 코드의 가독성과 재사용성에 좋아서 사용한다. ex) fun howToMethod() { .... }
6.클래스 -객체를 정의하는 틀, 설계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. 참고 ; https://sabarada.tistory.com/168
1) class를 통해 클래스를 선언한다. 2) 보통 PascalCase를 이름 규칙으로 사용한다. 3) var, val을 사용하여 내부 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. 4) init(initializer blocks)을 사용하여 객체가 생성될때 초기화 블럭이 실행된다.